7월 월급 실수령액 감소 원인, 이것 때문입니다
7월 급여를 받아보니 “왜 월급이 줄었지?” 하고 놀란 분들이 많을 겁니다.
대부분의 경우, 그 이유는 국민연금 보수총액이 재조정되었기 때문입니다.
7월은 국민연금 기준소득월액이 새로 갱신되는 시기이기 때문에, 월 보험료 부담이 달라지고 결국 실수령액에 영향을 주게 됩니다.
1. 국민연금 보수총액이란 무엇인가
보수총액이란, 1년간 받는 총 보수(기본급 + 각종 수당)를 말합니다.
국민연금에서는 이 보수총액을 바탕으로 ‘기준소득월액’을 계산하고, 여기에 요율을 곱해 보험료를 산정합니다.
즉, 내가 얼마를 버는지에 따라 매달 내는 국민연금 금액이 달라지고, 그 결과 실수령액도 변하게 됩니다.
2. 왜 7월에 조정이 이루어질까?
국민연금공단은 매년 5~6월에 전년도 소득 자료를 분석합니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7월부터 새로운 기준소득월액을 적용합니다.
- 소득이 올랐다면 → 기준소득월액 증가 → 국민연금 부담액 증가 → 실수령액 감소
- 소득이 줄었다면 → 기준소득월액 감소 → 국민연금 부담액 감소 → 실수령액 증가
이 과정이 매년 반복되기 때문에, 7월 급여는 전년 대비 변동이 잦습니다.
3. 2025년 기준소득월액 상·하한액 변화
2025년 7월부터 2026년 6월까지 적용되는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 상한액: 월 6,370,000원
- 하한액: 월 400,000원
내 소득이 상한액보다 많더라도 보험료는 상한액 기준으로 계산되고,
하한액보다 적으면 하한액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4. 보수총액 조정이 실수령액에 미치는 영향
국민연금 보험료 계산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기준소득월액 × 9% = 보험료 총액
(근로자 4.5%, 사업주 4.5% 부담)
예를 들어,
2024년 기준소득월액이 3,000,000원이었던 직장인이 2025년 7월에 3,200,000원으로 조정되면,
국민연금 부담금은 약 9,000원 정도 증가합니다.
이는 곧 실수령액이 그만큼 줄어든다는 뜻입니다.
5. 내 월급이 왜 변했는지 확인하는 방법
- 급여명세서 비교 – 6월과 7월 국민연금 항목 금액 비교
-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 – 기준소득월액과 보험료 내역 조회
- 사대보험 자동계산기 활용 – 사대보험 자동계산기 - 노동OK에서 변동액 확인
6. 그 외 7월 급여 변동 원인
- 건강보험료율·장기요양보험료율 변동
- 세금 간이세액표 변경
- 복리후생비, 수당 조정
7. 마무리
7월 월급이 달라지는 이유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은 국민연금 보수총액 재조정입니다.
이는 제도상 매년 7월에 이뤄지는 정상적인 절차이므로, 당황할 필요는 없습니다.
다만, 실수령액 변화를 미리 예상해두면 가계 계획을 세우는 데 훨씬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