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금정보 정리

2026 연말정산 대비, 올해 안에 준비하면 세금이 달라지는 7가지

sesomm 2025. 8. 15. 09:32

2026 연말정산 대비

목차


1. 2026년 연말정산 대비, 지금 준비해야 하는 이유

1-1. 연말 직전에 몰리면 생기는 문제

연말정산은 한 해 동안의 소득과 지출을 정산하는 절차입니다. 하지만 12월이 가까워지면 모두가 한꺼번에 준비를 시작하면서 서류 누락, 지출 계획 실패, 공제 항목 착오가 발생하기 쉽습니다. 특히 신용카드와 체크카드 사용 비율 조정, 연금저축 추가 납입 등은 ‘미리’ 준비하지 않으면 공제 한도를 채우기 어렵습니다.

1-2. 미리 준비하면 얻는 3가지 이점

  • 공제 한도 최적화: 남은 기간을 활용해 정확히 한도를 채울 수 있습니다.
  • 현금 흐름 관리: 연말에 몰아서 지출하지 않아도 됩니다.
  • 환급금 극대화: 계획적으로 소비·저축해 세금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2. 2026년 연말정산 주요 변경 사항

(2025년 세법 개정안 및 기획재정부 발표 기준, 국회 본회의 통과와 시행령 확정에 따라 세부 조건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2026 연말정산 대비

2-1. 신용카드 소득공제 한도 확대

  • 상태: 확정 (2025년 세법 개정안 통과)
  • 내용: 총급여 7,000만 원 이하 근로자의 신용카드 소득공제 한도가 기존 300만 원에서 350만 원으로 확대됩니다. 체크카드·현금영수증 한도와는 별도로 적용됩니다.

2-2. 월세 세액공제율 조정 및 대상 확대

  • 상태: 하반기 확정 예정 (시행령 세부 조건 확정 대기)
  • 내용: 월세 세액공제율이 12% → 15%로 상향되고, 소득 기준이 완화될 예정입니다. 구체 요건은 하반기 시행령에서 확정됩니다.

2-3. 혼인 신고 부부 세액공제 신설

  • 상태: 하반기 확정 예정
  • 내용: 혼인 신고 부부가 일정 조건을 충족하면 최대 100만 원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맞벌이 여부·소득 수준에 따라 차등 적용됩니다.

2-4. 연금저축·IRP 세액공제 한도 상향

  • 상태: 확정
  • 내용: 연금저축과 IRP(개인형 퇴직연금)의 합산 세액공제 한도가 700만 원에서 900만 원으로 확대됩니다.

2-5. 주택청약종합저축 소득공제 대상 확대

  • 상태: 하반기 확정 예정
  • 내용: 총급여 7,000만 원 이하 무주택 세대주의 주택청약종합저축 소득공제 한도가 240만 원에서 300만 원으로 상향될 예정입니다.

2026 연말정산 대비하기

3. 올해 안에 준비하면 좋은 절세 전략 7가지

3-1. 카드 사용액 비율 조정 (신용 vs 체크 vs 현금)

연간 총급여의 25%를 넘는 지출부터 소득공제가 적용됩니다.
- 25% 미만: 신용카드 사용 비중을 늘려 기준액 도달
- 25% 초과: 체크카드·현금영수증 사용 비율을 높여 공제율 극대화

3-2. 연금저축·IRP 추가 납입

연금저축과 IRP는 세액공제 한도를 채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12월 전까지 납입을 완료하면 환급액이 늘어날 수 있습니다.

3-3. 월세 계약·신고 사전 준비

월세 세액공제를 받기 위해서는 계약서와 주민등록상 주소가 일치해야 하며, 이체 내역 등 증빙자료가 필요합니다.

3-4. 청약저축 신규 가입 또는 납입 증액

올해 가입하면 해당 연도분부터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기존 가입자는 납입액을 증액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3-5. 기부금·의료비·교육비 영수증 챙기기

종교단체, 사회단체 기부금과 고액 의료비, 교육비는 연말정산 공제 항목에 포함됩니다. 미리 영수증을 확보하세요.

3-6. 맞벌이 부부 공제 항목 분리 설계

보험료, 교육비, 기부금 등은 소득이 높은 쪽에 몰아주는 것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

3-7. 고액 지출 계획 연내 분산

가전제품, 가구 등 고액 소비는 연내에 몰아 쓰면 공제율 측면에서 유리합니다.


4. 연말정산 사전 점검 체크리스트

4-1. 국세청 ‘연말정산 미리보기’ 활용

현재까지의 소비·저축 기록을 바탕으로 공제 예상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4-2. 환급 예상액 vs 추가 납부액 미리 계산

미리 계산하면 남은 기간 동안 소비·저축 전략을 효율적으로 조정할 수 있습니다.

4-3. 남은 기간 소비·저축 계획표 만들기

월별 사용액을 계획하면 불필요한 지출을 줄이면서도 공제 한도를 효율적으로 채울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