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대보험 정리

2025년 사대보험 요율 한눈에 보기

sesomm 2025. 8. 8. 11:14

 

직장인이라면 매달 월급명세서에서 빠져나가는 사대보험 항목이 익숙할 겁니다.
하지만 정확히 어떤 항목에서 얼마가 빠지는지, 그리고 매년 요율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고 계신가요?

이 글에서는 2025년 기준 사대보험 요율을 정리하고, 근로자와 사업주가 실제로 얼마를 부담하는지 한눈에 살펴보겠습니다. 또한 장기요양보험 요율과 국민연금 개편안 논의 상황도 함께 안내드립니다.

 

2025년 사대보험 요율


2025년 사대보험 요율 정리

2025년에도 사대보험 항목별 요율은 일부 조정되거나 유지되었습니다. 각 보험별 부담률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근로자 부담률 사업주 부담률 총합
국민연금 4.5% 4.5% 9.0%
건강보험 3.545% 3.545% 7.09%
장기요양보험 0.9182%
(건강보험료의 12.95%)
해당 없음 -
고용보험 0.9% 0.9% 1.8%
산재보험 없음 0.6%~18.5% (업종별 차등) 업종별 다름

총 부담률은 근로자 약 9.4%, 사업주 약 10.4%로, 전체로 보면 약 19.8%의 금액이 사대보험으로 빠져나갑니다.

 

2025년 사대보험 요율 요약정리

 


장기요양보험 요율, 2025년에도 동결

보건복지부는 2025년도 장기요양보험료율을 2024년과 동일하게 0.9182%로 동결했습니다.
이는 건강보험료의 12.95%에 해당하며, 별도 항목으로 납부됩니다.

장기요양보험은 고령자와 중증질환자의 요양 서비스를 위한 보험으로, 건강보험에 부과되는 형태로 계산됩니다.


국민연금 요율, 연령별 차등 적용은 아직 확정 아님

최근 언론에서는 국민연금 개편안에 따라 연령별로 요율을 차등 적용하는 안이 논의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2025년 현재 해당 내용은 아직 국회 통과 전이며, 법적으로 확정되지 않았습니다.

현재 적용되는 국민연금 요율은 아래와 같습니다.

  • 전체 연령 공통: 9.0% (근로자 4.5% + 사업주 4.5%)

개편안에 따르면 50대 이상은 요율을 10~12%까지 인상하는 시나리오도 있지만, 이는 빠르면 2026년 이후 적용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실수령액 계산, 어떻게 해야 할까?

실제 월급에서 빠지는 사대보험 금액이 얼마인지 알고 싶다면, 사대보험 자동계산기를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사대보험 자동계산기 - 노동OK 바로가기

월 소득만 입력하면 국민연금, 건강보험, 장기요양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까지 항목별로 자동 계산해줍니다.

 

2025년 사대보험 요율 계산기

 


자주 묻는 질문 – 사대보험 요율 관련 Q&A

Q1. 사대보험은 모든 직장인이 무조건 가입해야 하나요?

네, 원칙적으로 정규직, 계약직, 아르바이트 등 근로자라면 모두 가입 대상입니다.
단, 일용직이나 프리랜서 등 일부 고용 형태는 가입 조건이 다를 수 있습니다.

Q2. 월급에서 빠지는 사대보험 금액은 어떻게 계산하나요?

월급(총보수)에 해당 요율을 곱해 산정합니다.
예: 월 300만원 기준
국민연금 13.5만원, 건강보험 10.6만원, 고용보험 2.7만원 등 약 25만원 정도가 공제됩니다.

Q3. 건강보험과 장기요양보험은 왜 따로 계산되나요?

장기요양보험은 건강보험료에 부과되는 추가 보험료이기 때문에 건강보험료 산정 후 별도 계산됩니다.

Q4. 산재보험은 근로자도 부담하나요?

아니요. 산재보험은 전액 사업주 부담입니다. 근로자는 해당 보험에 대해 비용을 부담하지 않습니다.

Q5. 국민연금 개편은 언제부터 적용되나요?

2025년 현재 국민연금 개편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으며, 국회 논의 중입니다. 빠르면 2026년 이후 적용될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사대보험이나 실수령액과 관련해 궁금한 점이 있다면, 실제 월급명세서를 기준으로 계산기를 활용해보거나 전문가 상담을 받아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